Recent Comment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Tags
- kaldi 한국
- 코딩테스트
- java 배열
- Java
- 플랫폼공작소
- 리눅스
- 네이버음성합성
- 전자정부프레임워크
- Cordova
- java 코딩테스트
- jQuery
- kaldi zeroth korea
- kaldi 한국어
- kaldi
- kaldi korea
- rest api란
- JavaScript
- 오픈소스 음성인식
- css
- 경영학 공부
- 음성합성
- 이사작전
- rest란
- SQLD
- modal
- 한국어 음성인식
- 파이썬
- kaldi zeroth
- MySQL
- Firebase
- Today
- 27
- Total
- 273,648
플랫폼공작소 IT Blog
[5분 경영학 공부] 중앙은행의 미션, 금리 인상 또는 인하 본문
중앙은행(한국은행)은 독립기관이다.
정부의 눈치를 보거나, 남들이 많이 하는 것을 따라해서는 안된다.
중앙은행의 미션
- 물가안정
- 금융시스템의 안정
금리가 상승하면?
- 대출금리도 상승한다.
- 대출금리가 상승하면 빚을 가진 가계가 파산한다.
- 투자가 축소된다.
- 경제가 축소한다
- 경제가 축소되기 때문에, 보통 금리 상승은 경기가 좋을 때 이뤄진다.
- 소비가 축소하고 저축이 증가한다
- 인플레이션이 감소한다
인플레이션이란?
-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
금리가 낮으면?
- 투자가 활성되며 소비가 증가한다.
- 단, 현재 미국과 한국의 금리 차이가 크다.
- 해외자본유출의 가능성이 있다. => 환율 상승, 주식시장이 엉망.
- 사람들이 저죽을 잘 안한다. 돈이 이곳저곳 떠돌아다닌다.
- 주식시장이 좋으면 돈이 주식시장으로 간다
- 그러나, 지금 주식시장은 엉망이고 부동산이 비교적 좋으니 많은 돈이 이미 부동산에 머무르고 있다.
금리를 하락시키면?
- 경제 활성
- 투자 증가
- 이자가 낮으니 저축을 잘 안한다.
- 소비가 증가한다.
세계공황이 발생하였을 때, 국가의 금리가 이미 높아져있어야 금리를 하락시킨다는 경제정책(카드)을 사용할 수 있다.
세계공황이 발생하였을 때, 국가의 금리가 낮은 상태라면 카드가 없다.
reference : 경영대학 강의내용 정리
'2. 강의실 > [5분 경영학 공부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업가치를 높히는 방법] 손익분기점을 계산하자, 계산하는 방법 공유 (0) | 2018.12.17 |
---|---|
[기업가치를 높히는 방법] 레버리지와 기업위험을 알아보자 (0) | 2018.12.17 |
[5분 경영학 공부] 중앙은행의 미션, 금리 인상 또는 인하 (0) | 2018.10.22 |
[5분 경영학 공부] 모두가 부자가 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서 (0) | 2018.10.22 |
[5분 경영학 공부] 금융시장 공부하기 - 금융위기의 원인? (0) | 2018.10.22 |
[5분 경영학 공부] 금융시장 공부하기 - 용어 정리 편 (0) | 2018.10.22 |
0 Comments